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 '글로벌 백신 허브' 실현될 수 있을까?<br /><br />[오프닝: 이준흠 기자]<br /><br />시청자 여러분, 안녕하십니까?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준흠 기자]<br /><br />지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의 '백신 협력'이 본격화했습니다. 우리 기업이 잇따라 코로나 백신 제약사와 생산 계약을 맺으면서, 글로벌 백신 허브가 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는데요. 이 내용은 먼저 김장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'백신동맹' 업은 한국…글로벌 백신허브의 꿈 '성큼' / 김장현 기자]<br /><br />현지시간 지난달 21일 오후 미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.<br /><br />양국 정상은 코로나 백신의 대량 생산을 위해 손을 맞잡았습니다.<br /><br /> "포괄적인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받은 백신의 생산 확대를 위해 협력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 "전세계에 백신 공급을 늘려 코로나의 완전한 종식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이 자리에서 양국은 모두 4건의 양해각서를 체결했고, 국내 mRNA 백신 역량 강화에 방점이 찍혔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모더나가 개발한 mRNA 백신의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.<br /><br />백신 원액을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완제 충전 방식으로 3분기부터 연간 수억회분을 생산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삼성바이오로직스는 내년 상반기까지 원료 생산 설비를 추가 증설해 원료부터 포장까지 mRNA 백신의 전주기 생산체계를 준비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mRNA 백신의 국내 생산시설 투자와 연구 협력을 위해서도 우리 정부와 국립보건연구원, 모더나가 힘을 모아 상호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의 코로나 백신 위탁생산을 맡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노바백스, 우리 정부와 함께 기존 백신 협력을 더 강화하고, 확산하는 변이 바이러스에도 공동 대응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변이 바이러스, 독감과 코로나 백신을 합친 결합백신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의 연구개발에 대해 협의를 해나가자(는 겁니다.)"<br /><br />러시아 백신 스푸트니크V도 한국코러스와 휴온스가 각각 꾸린 컨소시엄을 통해 국내 생산을 합니다.<br /><br />이로써 국내에서 생산되는 코로나 백신은 모두 4가지 종류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백신의 대량 위탁생산을 발판으로 한 기술 국산화를 통해 한국이 전세계 백신 생산기지로 떠오르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[코너 : 이준흠 기자]<br /><br />특히 mRNA가 백신으로 사용된 건 코로나19가 첫 사례입니다.<br /><br />초저온에서 보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, 안전하고, 또 변이 바이러스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,<br /><br />앞으로 다가올 또 다른 감염병에도 대비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의 계획은 일단 상반기 안에 1,300만명 1차 접종을 마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아직 민방위 대원인 저도 다음 주에 백신을 맞습니다.<br /><br />만 30살 이상 예비군과 민방위, 군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얀센 백신을 접종하죠.<br /><br />간단한 인증 절차를 마치고 회사 근처 종로구로 예약을 했습니다. 5분 만에 신청이 끝났고, 이렇게 확인 연락이 왔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식으로 접종을 확대해 7~9월 일반 국민접종 계획을 거쳐, 9월이면 전체 인구의 70%, 3,600만명이 1차 접종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신 접종 속도를 내기 위해 '인센티브', 즉 백신을 맞으면 일종의 혜택을 주는데요.<br /><br />직계 가족은 10명 이상도 모일 수 있고, 어르신의 경우 경로당 이용이 가능합니다. 공연장에서 입장료를 깎아주거나 요양병원에서 대면 면회도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해외에는 '백신 복권' 같은 경품을 인센티브로 내걸어서, 10억 넘는 당첨금을 거머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런 경품보다도 건강을 위해 빠른 백신 접종이 중요하겠죠.<br /><br />물론 백신을 맞았다고 100% 안전한 건 아닙니다.<br /><br />최근 전세계에서 여러 '변이 바이러스'가 발견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알파, 베타, 감마 등등 변이 바이러스에, 이 변이 바이러스끼리 결합한 '혼합 변이' 바이러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러면 자칫 백신을 접종해도 감염되는 '돌파 감염'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 방역당국도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낙 종류가 많다 보니 어떤 게 가장 좋은 백신인가, 궁금한 분들 많으실 텐데,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'가장 빨리 맞을 수 있는 백신'을 꼽습니다.<br /><br />[이준흠 기자]<br /><br />이렇게 빠른 백신 공급, 나아가 글로벌 백신 허브라는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민관정 합심이 중요할 겁니다. 후속대책 논의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서형석 기자가 짚어봅니다.<br /><br />[팔 걷어붙인 민·관·정…'백신 허브' 후속대책 박차 / 서형석 기자]<br /><br /> "우리의 의약품 생산능력과 미국의 기술을 결합해서 대량의 백신이 생산 공급되면 국제사회의 코로나19 극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미국과 맺은 '글로벌 백신 파트너십'을 위해 소통 채널을 담당할 전문가 그룹과 부처 간 벽을 허무는 범정부 TF를 만들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백신의 국내 투자·개발·생산 등 관련 계약과 MOU에 대한 후속 지원을 하고 성과를 내기 위해서인데, 코로나19 백신의 위탁 생산을 맡은 국내 기업과도 손발을 맞추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 백신·치료제 특별위원회는 지난달 삼성바이오로직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 등 백신 위탁생산 업체들의 CEO를 직접 만나 건의 사항을 듣고 정부에 전달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신약 개발에 맞춰져 있던 지원을 위탁생산 업체로도 확대하는 게 주된 내용인데,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부터, 산업용수, 전력 지원 그리고 생산업체 직원들에 대한 백신 우선 접종 등이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실제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은 바이오·헬스 산업에 대한 세제지원을 반도체 산업과 동일한 수준으로 확대하는 논의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구체적인 지원책은 부처별 협의를 거쳐 이르면 6월...